리눅스 14

MySQL 8.X 설치

mariadb 삭제 CentOS 7에서 yum install mysql 을 하는 경우 Maria DB가 설치됨!! (기본적으로 Maria DB가 깔려있기도 함) # yum list installed mariadb* # yum remove -y 패키지명 # yum remove -y mariadb.x86_64 # yum remove -y mariadb-libs.x86_64 … MySQL 8.x 설치 정보 # rpm -ivh https://dev.mysql.com/get/mysql80-community-release-el7-3.noarch.rpm [root@home ~]# rpm -ivh https://dev.mysql.com/get/mysql80-community-release-el7-3.noarch.rpm..

Linux/MySQL 2019.07.25

#yum (패키지 설치)

Yellowdog Update Manager rmp 파일이 저장된 저장소(repository)에서, rpm파일과 의종성을 갖는 다른 rpm파일까지 일괄 다운로드 후 자동으로 설치 yum [옵션] [패키지] 패키지 설치 : yum install [패키지] yum -y install [패키지] (약관 자동 동의) 업데이트 : yum update [패키지] 삭제 : yum remove [패키지] 버전확인 : yum --version 패키지 정보 확인 : yum info [패키지] [root@home ~]# yum -y install mysql-community-server Loaded plugins: fastestmirror, langpacks Loading mirror speeds from cached ho..

#rpm

redhat 계열 인스톨 패키지 미리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'[패키지이름]-[버전]-[릴리즈번호].[페도라버전].[아키텍처].rpm' 형태로 배포. 라이브러리 의존성 확인 필요 rpm [옵션] [패키지파일] 패키지 설치 : rpm -ivh [패키지파일] 패키지 업그레이드 : rpm -Uvh [패키지파일] 패키지 삭제 : rpm -e [패키지파일] [root@home ~]# rpm -ivh https://dev.mysql.com/get/mysql80-community-release-el7-3.noarch.rpm https://dev.mysql.com/get/mysql80-community-release-el7-3.noarch.rpm(을)를 복구합니다 경고: /var/tmp/rpm-tmp.p9Z5Hm: Hea..

#wget (파일 다운로드)

web get : 파일 다운로드 wget [옵션] [URL] 단순 저장 : wget download-url 다른 이름으로 저장 : wget -O 파일명 download-url 로그 : wget -o download.log download-url 다운로드 속도 : wget --limit-rate=200k download-url 이어받기 : wget -c download-url 백그라운드 : wget -b download-url user-agent정보 전달 : wget --user-agent=”Mozilla/~” download-url 불법적인 접근으로 오인하고 차단되는 경우 사용 다운로드 가능여부 확인 : wget --spider download-url 서버에 파일 존재 여부 및 용량 확인 가능 자동 재시..

lastlog (접속 로그 확인)

user 또는 root 계정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, 호스트명, 포트 정보 등을 확인 path : /usr/bin/lastlog lastlog [옵션] [root@home ~]# lastlog --help Usage: lastlog [options] Options: -b, --before DAYS print only lastlog records older than DAYS -C, --clear clear lastlog record of an user (usable only with -u) -h, --help display this help message and exit -R, --root CHROOT_DIR directory to chroot into -S, --set set lastlog record t..

#fstab (파일시스템 테이블)

path : /etc/fstab 파일시스템 정보를 정적으로 저장하는 파일로 리눅스 부팅시 자동으로 적용됨. * 주의!! 파일 정보가 손상된경우 부팅중 파일시스템 마운트 중간에 멈춰버림. 내용 [파일시스템장치명] [마운트포인트] [파일시스템종류] [옵션] [dump관련설정] [파일점검옵션] 파일시스템 장치명 "/dev/sda1", "/dev/sda2"등과 같은 장치명 사용 가능 "LABEL=/", "LABEL=/boot"등과 같은 라벨명 사용 가능 (단, 해당 파일시스템에 라벨명설정 필요) 마운트 포인트 마운트 될 위치 "/", "/home", "/backup"등과 같이 디렉토리를 지정 파일시스템 종류 ext4, nfs, swap, xfs 등 옵션 default :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 auto / noa..

#fdisk

파티션 관리 및 설정 현황을 확인 새로운 파티션 생성, 기존 파티션 삭제, 파티션 타입 결정 등을 위해 사용. path : /sbin/fdisk fdisk [옵션] fdisk -l : 파티션 테이블 리스트 fdisk : 파티션 변경 [root@home ~]# fdisk -l Disk /dev/xvda: 21.5 GB, 21474836480 bytes, 41943040 sectors Units = sectors of 1 * 512 = 512 bytes Sector size (logical/physical): 512 bytes / 512 bytes I/O size (minimum/optimal): 512 bytes / 512 bytes Disk label type: dos Disk identifier: 0x..

마운트 (Mount)

저장 장치 및 기타 외부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를 특정 디렉터리 구조에 지정해주는 작업 디스크 볼륨 목록 번호 계정명 용량 장치명 1 OS 20GB 2 test 100GB /dev/xvdc /backup 에 /dev/xvdc를 마운트 디스크 용량 및 mount 정보 확인 [root@home ~]# df -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 /dev/mapper/centos-root 18G 4.3G 13G 25% / /dev/xvdb 100G 15G 86G 15% /home /dev/xvda1 950M 148M 803M 16% /boot tmpfs 782M 0 782M 0% /run/user/0